[사설] DLS 손실 대란, 철저한 조사로 책임 물어야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 속에 각국 장기채 금리가 가파르게 추락하면서 이와 연동된 파생결합증권(DLS) 상품이 대란을 몰고 올 조짐이다. 은행 담당자 말을 믿고 돈을 맡긴 투자자들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그리고 일부 증권사가 작년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 사이 약 1조원어치를 판매한 금리연계 DLS는 현재 최고 마이너스 90%까지 손실률을 기록 중이다. 과거 대폭적인 손실로 투자자들을 울렸던 ELS(주가연계증권) 및 키코 사례의 반복이다.

금융감독원이 어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판매사 현장조사에 착수함에 따라 조만간 사태의 원인과 책임 소재가 명확히 가려질 전망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전개 과정과 피해 양상을 종합해 보면 판매사들이 책임에서 자유롭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최악의 경우 원금을 모두 까먹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이 상품을 판매하기 앞서 리스크를 제대로 따져 봤는지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주먹구구식 리스크 관리에 의존하면서 고위험 상품을 팔았다면 금융회사의 본분을 저버린 것이나 마찬가지다.

어느 DLS 상품의 경우 투자자 손실률을 말해주는 손실배수가 무려 200~330에 달해 금융업계 내부에서도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는 얘기가 들려올 정도다. 일반적인 금융상품의 손실배수가 10 안팎인 데 비해 그 20~30배의 손실을 끼칠 수 있는 상품을 아무런 거리낌 없이 판매했기 때문이다. 투자 상품의 판매 여부를 결정하는 내부 협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했는지 정밀한 조사와 함께 금리가 급락하던 3월 이후에도 판매가 계속된 이유를 정확히 따질 필요가 있다.

금리·환율·원자재 등의 투자자산이 정해진 구간을 벗어나면 원금도 손실을 보게 되는 DLS는 기본적으로 투자자에게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피해자들 중에는 “정기예금보다 1~2% 금리를 더 준다”는 담당자 말에 돈을 맡긴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금융당국은 불완전판매의 소지를 철저히 가려내야 한다. 투자자들도 상품의 옥석을 가려야 하지만 담당자가 충분한 설명과 이해 없이 판매수수료 수입을 앞세워 손실 위험을 방치했다면 해당 금융사도 책임져야 함은 물론이다.

▶ 당신의 생활 속 언제 어디서나 이데일리 ‘신문 PDF바로보기
▶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 모바일 투자정보 ‘투자플러스
▶ 실시간 뉴스와 속보 ‘모바일 뉴스 앱’ | 모바일 주식 매매 ‘MP트래블러Ⅱ
▶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3.0’ | ‘이데일리 본드웹 2.0
▶ 증권전문가방송 ‘이데일리 ON’ 1666-2200 | ‘ON스탁론’ 1599-2203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