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7 국내] 국내증시, 미국발 훈풍에 힘입어 상승 마감

국내증시, 미국발 훈풍에 힘입어 상승 마감

한 주간 국내 증시는 강세를 기록했다. 코스피지수는 美 3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라는 악재가 있었지만 美 세제개편안에 따른 글로벌증시 훈풍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이 7033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902억원, 7951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563억원, 406억원 순매수했고 기관이 885억원 순매도했다. 해당 기간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0.77%, 0.9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 기준으로 살펴보면  운수창고업(4.42%), 운수장비(4.24%) 등은 비교적 강세를 보인 반면 보험업(-2.68%), 은행(-3.81%) 등은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 )의 2월 17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주식형펀드는 한 주간 0.79% 상승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형주식펀드가 1.92%의 수익률로 국내주식형펀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이어 일반주식펀드가 1.03%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배당주식펀드(0.87%)와 K200인덱스펀드(0.45%)도 상승 마감했다. 소유형 기준 일반주식혼합형펀드와 일반채권혼합형펀드는 각각 0.37%, 0.55% 오른 채 마감했고, 절대수익추구형펀드 중에서는 채권알파펀드(0.06%), 시장중립펀드(0.12%)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형펀드 1733개 중 1555개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상회한 펀드는 614개로 나타났다. 운수창고업, 운수장비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관련 종목 편입 비중이 높은 펀드들이 상위권에 자리했다. 개별펀드 주간 성과는 ‘삼성KODEX자동차 상장지수[주식]'펀드가 4.71%의 수익률로 국내 주식형 펀드 최고성과를 기록했다.
 


국내 채권시장, 혼조세 속 강보합 마감

한 주간 국내 채권시장에선 혼조세를 보였다. 국고채 금리는 美 세제개편안에 따른 금리 상승과 Fed 의장의 통화긴축 선호 매파 발언이라는 악재가 있었으나 NSC 보좌관 사임에 따른 위험회피 심리로 인해 강보합 마감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3년물 금리는 각각 전주대비 0.1bp, 0.2bp 하락한 1.458%, 1.655%로 마감했다. 5년물, 10년물 금리는 각각 전주대비 0.5bp, 0.2bp 상승한 1.847%, 2.142%로 마감했다. 회사채 AA- 3년물 금리는 0.7bp 하락한 2.038%를 기록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의 2월 17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채권형펀드는 한 주간 0.03% 상승했다. 채권펀드의 소유형 성과는 전반적으로 상승세였으며, 그 중 일반채권펀드와 중기채권펀드가 가장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세부 유형별로 살펴보면, 일반채권펀드와 중기채권펀드가 모두 0.04%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어 초단기채권펀드와 우량채권펀드도 모두 0.03% 수익률을 기록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372개 국내 채권형펀드 전부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KIS채권지수(1년 종합) 수익률을 상회한 펀드는 239개인 것으로 확인됐다. 개별펀드 기준 '신한BNPP상대가치 1[채권](종류C-i)'펀드가 가장 높은 수익률(0.07%)을 기록했고, 이어 '삼성퇴직연금Active채권종합자 1[채권]'펀드(0.06%)와 '삼성코리아중기채권자 1[채권]_C-P'펀드(0.06%)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자금 동향

2월 17일 현재 KG제로인 유형별 펀드자금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 공모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1조 9868억원 증가한 204조 2648억원으로 집계되었다. 순자산액은 2조 5051억원 증가한 206조 6016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식형펀드 순자산액은 1164억원 증가한 32조 3378억원으로 집계됐고, 설정액은 1988억원 감소한 35조 1516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펀드의 순자산액은 2456억원 감소한 13조 6982억원, 설정액은 2462억원 감소한 13조 6208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식혼합형펀드의 설정액은 281억원 증가한 반면, 채권혼합형펀드의 설정액은 916억원 감소했다. 그 외에 절대수익추구형의 설정액이 459억원 감소했고, 기타(ELF 포함) 유형펀드의 설정액 또한 753억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 www.FundDoctor.co.kr]